
지난번 포스팅에선 Aws Spot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선 Jenkins 에서 생성된 Spot을 연결 후 동작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https://plugins.jenkins.io/ec2-fleet/ EC2 Fleet Use EC2 SpotFleet to launch builders plugins.jenkins.io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온다. Jenkins관리 -> 환경설정 -> 맨 아래 Cloud 에 보면 Spot 설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후 해당 페이지에서 정보들을 입력한다 Aws Credentials 는 당연히 적용이 되있을거라 믿고 넘어가겠다. Spot 인스턴스를 생성한 지역과 이름을 선택하면 된다. 이후 Label 항목은 Jenkins에서 사용할 Spot의 Alia..

젠킨스가 여러가지 프로젝트의 배포를 담당하는 상태에서 한곳에 배포를 한곳에서 처리하는 것은 성능저하 문제도 있고 여러 요청이 한번에 들어왔을 때 부담이 있다. 따라서 Jenkins 는 요청을 받기만 하고 실제로 처리하는 것은 다른 인스턴스로 요청을 보내서 처리하게 만들려고 하였다. 이때의 문제는 인스턴스를 유지하면 돈이 많이든다는 것.. 따라서 비용절감을 할 수 있도록 Aws Spot 기능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용어가 바뀌었나보다. 내가할땐 Fleet이었는데 스팟이라고.. 한두번이니 얘들..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18/04/introducing-amazon-ec2-fleet/ Amazon EC2 플릿 소개 Amazon EC2 플릿은 여러..
입사 후 역경과 고난을 거친후 개발, 운영서버 구축을 완료하였다. 이글을 읽는 사람들이 모두 쉽게 쿠버네이츠 환경을 구축하였으면 좋겠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써라. 한국어로 친절하게 설명 다나와있다. aws, azure에 있는 기능 다있다. 어쨋건.. 모든 사람들 힘내자. 우선 개발서버의 자동배포 플로우를 설명하겠다. 실 운영서버는 개발서버의 하위 프로젝트를 수동으로 변경한것 뿐이라 따로 설명하진 않겠다. 버전 태깅에 의해서 진행하는 것과 Git Commit Id 로 진행하는 차이가 있다. 1. Github Pull Request 후에 Merge가 일어난 후 webhook으로 jenkins에 전달된다. 2. jenkins에 webhook trigger 가 일어난 후 Docker Image 를 생성한다..